티스토리 뷰
728x90
반응형

문법정리 2탄 - 자료형
자료형
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느 숫자,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
1. 숫자형
-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
-정수형(소수점❌)과 실수형(소수점⭕️)이 있다.
-정수형끼리 연산은 정수형으로 출력
-하나라도 실수형이 있으면 실수형으로 출력
1)숫자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
(1)덧셈 : +
print(5+3) # 8
print(5+3.0) # 8.0
(2)뺄셈 : -
print(5-3) # 2
print(5-3.0) # 2.0
(3)곱셈 : *
print(5*3) # 15
print(5*3.0) # 15.0
(4)나머지 : %
print(5%3) # 2
print(5%3) # 2.0
(5)거듭제곱 : **
print(5**3) # 115
print(5**3.0) # 115.0
(6)버림나눗셈(몫) : //
print(5//3) # 1
print(5//3.0) # 1.0
(7) 나누기 : /
print(5/2) # 2.5
print(10/5) # 2.0
+알아두면 좋을 함수
round() : 반올림해주는 함수
# round(값,나타낼 소수점 자리수; 빈칸일 시, 소수점 생략)
print(round(3.1415926535)) # 3
print(round(3.1415926535,2)) # 3.14
'''
python3 부터 round to nearest even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
더 가까운 짝수로 만들어버린다.
즉,
round(4.5)를 하면 4가 되고
round(5.5)를 하면 6이 된다.
round(2.675,2)도 2.67이 된다.
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주소를 참고하자.
https://docs.python.org/ko/3/tutorial/floatingpoint.html#tut-fp-issues
'''
2. 문자열
-문자,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
1) 문자열 표시
# 작은따옴표 사용(' ')
print('hello world')
print('''hello world''')
# 큰따옴표 사용(" ")
print("hello world")
print("""hello world""")
2)문자열 연산
(1)연결 : +
print('Hello'+'World') # HelloWorld
print('3'+'5') # 35
(2)반복 : *
print("hi" * 3) # hihihi
3)문자열 포맷팅
# < format 메소드 사용 >
# 다음 문장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출력해보기
# 오늘은 2021년 6월 1일입니다.
year = 2021
month = 6
day = 1
# 1번째 방법
print("오늘은 {}년 {}월 {}일 입니다.".format(year,month,day))
# 2번째 방법
date_string = "오늘은 {}년 {}월 {}일 입니다."
print(date_string.format(year,month,day))
# 3번째 방법 (숫자로 순서 지정)
print("오늘은 {1}년 {0}월 {2}일 입니다.".format(month, year, day))
# 3번째 방법 응용
print("{0} 나누기 {1}은 {2:.2f}입니다.".format(1,3,1/3))
# < 그 외 포맷팅 방법 >
name = zoe
age = 1
# % 사용
print("제 이름은 %s이고 %d살입니다." % (name, age))
# f-string 사용 ( python 3.6 부터 사용)
print(f"제 이름은 {name}이고 {age}살입니다.")
'''
더 알아보기
https://docs.python.org/ko/3/library/stdtypes.html
'''
+알아두면 좋을 함수
len() : 길이를 구해주는 함수
print(len(hihihi)) # 6
3. 불린형 (boolean)
-불린형이란 참(True)과 거짓(False)을 나타내는 자료형
# and : 둘다 참일 경우에만 참 , 하나라도 거짓일 경우 거짓
# or : 둘 중 하나라도 참일 경우에 참 , 둘다 거짓일 경우에만 거짓
# not : 값을 반전 시키는 것, 참은 거짓으로 거짓은 참이 됨
print(True and True) # True
print(True or False) # True
print(not True) # False
print(2 > 1) # True
print(2 < 1) # False
print(3 <= 3) # True
print(2 != 2) # False
print("hello" == "hello") # True
4.형변환
-자료형을 바꿔주는 것
# 실수 -> 정수
print(int(3.8)) # 3
# 정수 -> 실수
print(float(3)) # 3.0
# 문자열 -> 정수
print(int("3") + int("5")) # 8
# 정수 -> 문자열
print(str(3) + str(5)) # 35
# 문자열 -> 실수
print(float("3") + float("5")) # 8.0
# 실수 -> 문자열
print(str(3.0) + str(5.0)) # 3.05.0
5. type 함수
-type() 은 자료형을 확인하는 함수
print(type(3)) # <class 'int'>
print(type(3.0)) # <class 'float'>
print(type("3")) # <class 'str'>
print(type(print)) # <class 'builtin_function_or_method'>
print(type(4/2)) # <class 'float'>
print(type("True")) # <class 'str'>
print(type(10<=7)) # <class 'bool'>
print(type(2.0 ** 3)) # <class 'float'>
print(type(2*3 == 6)) # <class 'bool'>
728x90
반응형
'[코드잇] > ㄴ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문법정리 4탄 - 제어문 (0) | 2021.06.06 |
---|---|
[파이썬] 문법정리 3탄 - 리스트, 튜플, 집합, 사전 (0) | 2021.06.04 |
[파이썬] 문법정리 1탄 - 변수, 상수, 리터럴 (0) | 2021.05.17 |
[파이썬] 문법정리 0탄 - 알고가면 좋은 문법 (0) | 2021.05.17 |
[파이썬] 용어집 (0) | 2021.05.17 |
댓글
250x250
반응형
TAG
- 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2
- 코드잇
- 재귀함수
- 파이썬
- 유닉스커맨드
- 문법
- 정렬
- 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문제
- SWiFT
- level1
- 월간 코드 챌린지 시즌1
- 피보나치
- 프로그래머스
- 프로그래머스문제
- x만큼간격이있는n개의숫자
- 컴퓨터개론
- 조합
- 프로그래밍언어
- 파이썬문법
- 백준
- 알고리즘
- Summer/Winter Coding(~2018)
- level2
- 이진탐색
- 프로그래머스코딩테스트
- 코딩테스트
- KAKAO
- GIT
- 설치
- 알고리즘문제
최근에 달린 댓글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링크
- Total
- Today
- Yesterday